Write For Us

종교의 경계를 넘어 세계인의 축제! 우리나라 21번째 인류무형문화유산 '연등회' [KBS 20220503 방송]

E-Commerce Solutions SEO Solutions Marketing Solutions
13 Views
Published
■ 시대와 사회를 반영하는 공동체의 축제
2014년 세월호 사고 당시, 연등회보존위원회는 기존의 행사 대신에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행렬을 진행했다. 이처럼 연등회는 단순히 반복되는 행사가 아니라 그때그때 창의적으로 사회 구성원들의 염원을 드러낼 수 있는 사회적 기제이다. 박상미 교수(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심사기구 의장,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학부 교수)가 연등회의 유네스코 유산 등재 이유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 연등회의 기원과 역사
연등(燃燈)은 ‘등에 불을 밝힌다’는 의미로, 무명을 밝히는 지혜의 불을 상징한다. 『현우경』의 빈녀난타품에 나오는 ‘빈자일등(貧者一燈)’ 설화가 등 공양의 기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경문왕 6년(866년)에 임금이 황룡사에서 간등(看燈)을 하였다는 기록이 『삼국사기』에 나온다. 억불정책을 펼쳤던 조선 시대에도 연등회는 세시풍속으로 살아남았다. 사월 초파일은 한편으로 어린이의 날이기도 했다. 아이들은 어머니의 정성이 담긴 팔일장을 입고, 호기(呼旗) 놀이를 하며 놀았다. 남녀노소, 신분의 귀천과 관계없이 모두가 함께 즐겼던 ‘종가관등(鐘街觀燈)’의 풍경을 생생한 3D 컴퓨터그래픽으로 재현해냈다.

■ 현대에 더욱 찬란한 한지등의 빛
산업화를 거치면서 늘어난 비닐등을 대체하기 위해 사라진 전통등을 연구하고 복원해 온 젊은 작가들이 있었다. 백창호 작가(한국전통등연구원장)는 1996년 이후 약 25년 동안 수박등(풍요와 다산), 거북등(무병장수), 잉어등(입신출세), 집등(집안의 평안)을 포함해 아름다운 형태의 전통등을 재현해 왔다. 전영일 작가는 작업 재료로서 한지가 가진 가능성에 주목하고, 높은 예술적 가치를 발휘할 수 있는 한지등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

■ 세계인의 축제, 연등회
한국의 대표적인 봄철 축제가 된 연등회. 연등회 서포터즈로 활동하는 외국인들은 단지 불교 행사가 아니라 한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장으로서 연등회를 즐기고 있다. 국적, 인종, 종교, 장애의 경계를 넘어 전 세계인의 축제로 발돋움한 연등회의 현장

※ 이 영상은 2022년 5월 3일에 방영된 [천년의 빛 유네스코 유산 연등회] 입니다.

#연등회 #인류무형문화유산 #축제
Category
다큐멘터리 - Documentary
Tags
KBS, 다큐멘터리, docu
Sign in or sign up to post comments.
Be the first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