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스로 선택한 존엄한 죽음
데이비드 구달 박사와 엑시트 인터네셔널(Exit Intenational) 설립자 필립 니츠케
지난 5월 10일, 전 호주 에디스 코완 대학교의 명예교수 데이비드 구달 박사가 104세의 나이에 스스로 죽음을 선택했다. 구달 박사는 자신의 의지로 죽음을 선택할 수 있어 행복하다고 했으며, 자신의 이야기가 사람들에게 ‘좋은 죽음’이란 무엇인지 다시 고민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현재 안락사를 허용한 나라는 네덜란드와 벨기에를 비롯하여 총 8개국이며, 영국, 포르투갈 등의 많은 나라들은 ‘안락사’를 합법화할 것인지에 대해 논쟁중이다.
구달박사의 임종을 도운 안락사 조력단체 ‘엑시트 인터네셔널(Exit International)’의 설립자, 필립 니츠케를 통해 세상을 뒤흔든 구달 박사의 마지막 이야기를 전한다.
■ 웰다잉, 대한민국에 화두를 던지다
지금으로부터 10년 전, 대한민국 역시 존엄사를 사회적인 이슈로 떠올린 사건이 있었다.
2009년 ‘김할머니 존엄사 사건’이란 폐암 조직검사를 받다 식물인간이 된 김할머니의 가족들이 연명치료거부 가처분을 신청한 후, 대법원에서 ‘존엄사’ 판결을 내린 사건이다. 김할머니는 자녀들의 바람대로 ‘존엄사’를 맞이했으며, 그 결과, 올해 2월부터 대한민국에서 ‘연명치료’를 거부하겠다고 의사를 표시할 수 있는 ‘연명의료결정법’이 정식으로 시행됐다. 덕분에 사람들은 ‘연명치료’를 거부하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할 수 있게 되었고, 연명의료결정법 시행 후 8개월 만에 작성자 수가 58,845명에 이르렀다. 이렇듯 웰다잉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커지고 있지만 정작 대한민국 죽음의 질은 세계 18위에 불과하다. 존엄한 죽음이 가능한 사회가 되려면 어떤 조건이 선행되어야 할까?
■ ‘죽음’, 삶의 스승이 되다
2015년 죽음의 질 세계 6위, 아시아 1위의 대만
죽음으로 삶을 가르치는 선생님 ‘무언의 멘토’
▲ 대만 ‘무언의 멘토’ 해부학 수술실습프로그램
2015년 죽음의 질 세계 6위, 아시아 1위인 대만은 2000년, 아시아 최초로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법적 근거인 ‘자연사법’을 제정했다. 또한 호스피스 병동을 획기적으로 늘려 누구나 경제적 부담 없이 생의 마지막을 편안하게 맞을 수 있도록 사회적 시스템을 마련했다. 이런 배경에는 대만 ‘츠지대학교 의과대학’의 ‘무언의 멘토(말 없는 선생님)’와 같은 죽음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를 이끄는 시도들이 있기에 가능했다.
‘무언의 멘토’는 의과대학 학생들이 의술을 배울 수 있도록 츠지종합병원에 자신의 시신을 기증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학생들은 이들을 ‘선생님’이라 부르며 기증자의 삶을 조사하고 유족과 연대하며 학교는 기증자들을 위해 극진한 예우를 갖춘다. 말 없는 선생님들의 죽음에서 진정한 삶을 배우기 때문이다.
■ 죽음에 대한 그림책을 읽어주는 선생님, 서울상지초등학교 교사 임경희
서울아산병원 병리과 유은실 의사는 서촌의 한 공간에서 죽음학 강좌를 열고 있다. 죽음을 공부하고 죽음에 대한 이야기가 공론화되어야 우리 사회의 죽음의 질도 높아질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얼마 전에는 한 초등학교 교사인 임경희 선생님이 강사로 초빙되었다. 임경희 선생님은 죽음에 대한 그림책을 매개로 사람들에게 ‘죽음’을 가르치는 특별한 선생님이다. 그녀가 읽어주는 동화같은 죽음에 남녀노소 모두 눈물을 흘리는데...
■ 죽음이 삶에 답하다
▲ 앰뷸런스 소원재단(Ambulance Wish Foundation)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있는 ‘앰뷸런스 소원재단(Ambulance Wish Foundation)’은 임종을 앞둔 사람들의 마지막 소원을 들어주는 봉사단체다. 1년에 이루어주는 소원은 약 2천 개. 어마어마한 수지만, 소원신청자들의 마지막 바람은 ‘딸의 결혼식 가기’나 ‘동물원 가기’ 혹은 ‘거리에서 아이스크림콘 먹기’ 같은 지극히 평범한 일상이었다. 그리고 그들은 온화하고 행복한 표정으로 마지막을 맞았다.
이들이 웃으며 죽음을 맞이할 수 있었던 힘은 무엇이었을까.
그들이 죽음 앞에서 얻은 해답은 무엇이었을까.
존엄한 죽음의 조건과 죽음이 삶에 던지는 메시지를 따라 가보고자 한다.
※ 이 영상은 2016년 3월 5일 방영된 [KBS스페셜 - 죽음이 삶에 답하다] 입니다.
#웰다잉 #삶 #마지막날
데이비드 구달 박사와 엑시트 인터네셔널(Exit Intenational) 설립자 필립 니츠케
지난 5월 10일, 전 호주 에디스 코완 대학교의 명예교수 데이비드 구달 박사가 104세의 나이에 스스로 죽음을 선택했다. 구달 박사는 자신의 의지로 죽음을 선택할 수 있어 행복하다고 했으며, 자신의 이야기가 사람들에게 ‘좋은 죽음’이란 무엇인지 다시 고민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현재 안락사를 허용한 나라는 네덜란드와 벨기에를 비롯하여 총 8개국이며, 영국, 포르투갈 등의 많은 나라들은 ‘안락사’를 합법화할 것인지에 대해 논쟁중이다.
구달박사의 임종을 도운 안락사 조력단체 ‘엑시트 인터네셔널(Exit International)’의 설립자, 필립 니츠케를 통해 세상을 뒤흔든 구달 박사의 마지막 이야기를 전한다.
■ 웰다잉, 대한민국에 화두를 던지다
지금으로부터 10년 전, 대한민국 역시 존엄사를 사회적인 이슈로 떠올린 사건이 있었다.
2009년 ‘김할머니 존엄사 사건’이란 폐암 조직검사를 받다 식물인간이 된 김할머니의 가족들이 연명치료거부 가처분을 신청한 후, 대법원에서 ‘존엄사’ 판결을 내린 사건이다. 김할머니는 자녀들의 바람대로 ‘존엄사’를 맞이했으며, 그 결과, 올해 2월부터 대한민국에서 ‘연명치료’를 거부하겠다고 의사를 표시할 수 있는 ‘연명의료결정법’이 정식으로 시행됐다. 덕분에 사람들은 ‘연명치료’를 거부하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할 수 있게 되었고, 연명의료결정법 시행 후 8개월 만에 작성자 수가 58,845명에 이르렀다. 이렇듯 웰다잉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커지고 있지만 정작 대한민국 죽음의 질은 세계 18위에 불과하다. 존엄한 죽음이 가능한 사회가 되려면 어떤 조건이 선행되어야 할까?
■ ‘죽음’, 삶의 스승이 되다
2015년 죽음의 질 세계 6위, 아시아 1위의 대만
죽음으로 삶을 가르치는 선생님 ‘무언의 멘토’
▲ 대만 ‘무언의 멘토’ 해부학 수술실습프로그램
2015년 죽음의 질 세계 6위, 아시아 1위인 대만은 2000년, 아시아 최초로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법적 근거인 ‘자연사법’을 제정했다. 또한 호스피스 병동을 획기적으로 늘려 누구나 경제적 부담 없이 생의 마지막을 편안하게 맞을 수 있도록 사회적 시스템을 마련했다. 이런 배경에는 대만 ‘츠지대학교 의과대학’의 ‘무언의 멘토(말 없는 선생님)’와 같은 죽음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를 이끄는 시도들이 있기에 가능했다.
‘무언의 멘토’는 의과대학 학생들이 의술을 배울 수 있도록 츠지종합병원에 자신의 시신을 기증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학생들은 이들을 ‘선생님’이라 부르며 기증자의 삶을 조사하고 유족과 연대하며 학교는 기증자들을 위해 극진한 예우를 갖춘다. 말 없는 선생님들의 죽음에서 진정한 삶을 배우기 때문이다.
■ 죽음에 대한 그림책을 읽어주는 선생님, 서울상지초등학교 교사 임경희
서울아산병원 병리과 유은실 의사는 서촌의 한 공간에서 죽음학 강좌를 열고 있다. 죽음을 공부하고 죽음에 대한 이야기가 공론화되어야 우리 사회의 죽음의 질도 높아질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얼마 전에는 한 초등학교 교사인 임경희 선생님이 강사로 초빙되었다. 임경희 선생님은 죽음에 대한 그림책을 매개로 사람들에게 ‘죽음’을 가르치는 특별한 선생님이다. 그녀가 읽어주는 동화같은 죽음에 남녀노소 모두 눈물을 흘리는데...
■ 죽음이 삶에 답하다
▲ 앰뷸런스 소원재단(Ambulance Wish Foundation)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있는 ‘앰뷸런스 소원재단(Ambulance Wish Foundation)’은 임종을 앞둔 사람들의 마지막 소원을 들어주는 봉사단체다. 1년에 이루어주는 소원은 약 2천 개. 어마어마한 수지만, 소원신청자들의 마지막 바람은 ‘딸의 결혼식 가기’나 ‘동물원 가기’ 혹은 ‘거리에서 아이스크림콘 먹기’ 같은 지극히 평범한 일상이었다. 그리고 그들은 온화하고 행복한 표정으로 마지막을 맞았다.
이들이 웃으며 죽음을 맞이할 수 있었던 힘은 무엇이었을까.
그들이 죽음 앞에서 얻은 해답은 무엇이었을까.
존엄한 죽음의 조건과 죽음이 삶에 던지는 메시지를 따라 가보고자 한다.
※ 이 영상은 2016년 3월 5일 방영된 [KBS스페셜 - 죽음이 삶에 답하다] 입니다.
#웰다잉 #삶 #마지막날
- Category
- 다큐멘터리 - Documentary
- Tags
- KBS, 다큐멘터리, docu
Sign in or sign up to post comments.
Be the first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