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 For Us

돌미역과 바지락으로 차린 광리마을의 옹골찬 밥상! [한국인의 밥상 KBS 20230525 방송]

E-Commerce Solutions SEO Solutions Marketing Solutions
17 Views
Published
■ 견내량 해협을 지켜온 자잘한 것들!– 경상남도 거제시
견내량 해협은 이순신 장군이 거센 물살과 좁은 지형을 이용하여 통쾌한 승리를 거둔 한산대첩의 무대가 된 장소다. 암초가 많고 수심이 얕은 견내량 해협은 예로부터 미역이 자라기에도 더없이 좋은 환경이었다는데. 난중일기에도 견내량 미역을 채취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그 사실을 전해주고 있다. 임진왜란 당시에 병사들의 일용한 군량이 되어 준 미역은 여전히 지역민들의 소중하기 그지없는 수입원! 견내량 해협을 따라 자리한 광리마을의 주민들은 20일간의 짧은 미역 철이 찾아오면 ‘틀잇대’라고 부르는 전통 어구를 이용한 미역 채취에 나선다. 9m 길이의 장대를 거센 조류에 넣어 손수 미역을 감아올리는 전통 방식의 작업은 온 힘을 사용해야만 하는 고된 노동이다. 기계를 사용할 때보다 채취량도 적지만 전통과 환경을 보존하기 위해 광리마을 주민들이 대를 이어 지켜온 방식이라는데! 그 덕에 통영·거제 견내량 돌미역 채취어업은 국가중요어업유산에 지정되었다.
광리마을의 미역 채취어업이 이어질 수 있게 해준 버팀목이 또 하나 있다! 바로 마을 할매들이 갯벌에서 캐낸 바지락! 젊었을 적 미역 채취 작업의 제일선에서 활약하던 광리마을 할매들은 은퇴 후 갯벌에서 유유자적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데. 갯벌에 사는 자잘한 바지락은 깊은 바다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개체보다 크기는 작지만, 아직까지 쏠쏠한 벌이가 되어 주는 고마운 녀석들이란다. 특히 반찬 마련할 시간조차 없는 미역 철에는 할매들이 캐온 바지락이 귀중한 찬거리가 된다. 쫄깃쫄깃한 바지락을 한가득 넣고 짭조름한 된장으로 간을 한 바지락 장떡은 만들기도 쉽고 영양분도 풍부해 일하는 사이사이 밥 대신 먹기 제격! 공멸 조림은 다 같이 고생한 마을 사람들이 모여 앉으면 꼭 함께하는 음식이라는데. 갓 채취한 생미역에 담백하고 고소한 공멸조림 한 숟가락이면 하루종일 선창과 바다를 종횡무진할 수 있는 에너지가 생긴단다. 적고, 작은 것들의 소중함을 알고 귀하게 여기는 광리마을의 옹골찬 밥상을 만나본다!

한국인의 밥상 (목요일 저녁 7시 40분 KBS1)
"맛의 재간둥이, 작지만 야무지다!” (2023년 5월 25일 방송)

#한국인의밥상 #돌미역 #바지락
Category
다큐멘터리 - Documentary
Tags
KBS, 다큐멘터리, docu
Sign in or sign up to post comments.
Be the first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