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영상은 2024년 11월 14일에 방송된 <취미는 과학 - 7화 자연지능, 왜 인공지능을 만드나?>의 일부입니다.
인간을 뛰어넘는 인공지능, 그 신호탄이 된 ‘알파고’의 승리. 하지만 이 뛰어난 인공지능을 만들어 낸 건 결국, 자연지능이다. 때문에, 인공지능을 알수록, 더욱 알고 싶은 것 역시 자연지능이다. 많은 데이터를 넣어줘야 목적을 수행하는 인공지능과는 달리, 자연지능인 뇌는 선천적으로 유연하며 효율적으로 문제를 풀어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자연지능은 대체 어떻게 인공지능을 만들어낸 것일까? 이에 대한 해답을 알려주기 위해 인공지능과 자연지능을 모두 연구하는 뇌과학자 백세범 교수가 취미는 과학을 찾았다. 인공지능 개발의 현주소와 더불어 두 지능의 원리, 근본적인 차이에 대한 이야기까지 빈틈없는 토크가 펼쳐졌다는 후문.
자연지능은 어떻게 탄생한 걸까? 진화생물학자 이대한 교수가 자연지능 즉, 뇌가 생기게 된 계기를 좌우대칭동물의 진화 이야기를 통해 풀어 놓는다. 과학 커뮤니케이터 항성은 인간이 음식을 불에 익혀 먹기 시작하면서 인간의 뇌가 더욱 발달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와 함께, 뇌와 문명 발생의 관계를 쉽고 유쾌하게 짚어준다.
인류는 아직도 뇌의 작동 원리를 정확히 알지 못한다. 뇌 연구는 왜 이렇게 어려운 걸까? 백세범 교수는 인공지능 연구가 자연지능을 이해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그가 연구를 통해 최근 밝혀낸 자연지능의 선천적 능력에 대해 공개한다.
✔ 프로그램명 : 취미는 과학 - 7화 자연지능, 왜 인공지능을 만드나?
✔ 방송 일자 : 2024.11.14
#골라듄다큐 #취미는과학 #뇌 #인공지능 #ai #뇌과학
인간을 뛰어넘는 인공지능, 그 신호탄이 된 ‘알파고’의 승리. 하지만 이 뛰어난 인공지능을 만들어 낸 건 결국, 자연지능이다. 때문에, 인공지능을 알수록, 더욱 알고 싶은 것 역시 자연지능이다. 많은 데이터를 넣어줘야 목적을 수행하는 인공지능과는 달리, 자연지능인 뇌는 선천적으로 유연하며 효율적으로 문제를 풀어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자연지능은 대체 어떻게 인공지능을 만들어낸 것일까? 이에 대한 해답을 알려주기 위해 인공지능과 자연지능을 모두 연구하는 뇌과학자 백세범 교수가 취미는 과학을 찾았다. 인공지능 개발의 현주소와 더불어 두 지능의 원리, 근본적인 차이에 대한 이야기까지 빈틈없는 토크가 펼쳐졌다는 후문.
자연지능은 어떻게 탄생한 걸까? 진화생물학자 이대한 교수가 자연지능 즉, 뇌가 생기게 된 계기를 좌우대칭동물의 진화 이야기를 통해 풀어 놓는다. 과학 커뮤니케이터 항성은 인간이 음식을 불에 익혀 먹기 시작하면서 인간의 뇌가 더욱 발달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와 함께, 뇌와 문명 발생의 관계를 쉽고 유쾌하게 짚어준다.
인류는 아직도 뇌의 작동 원리를 정확히 알지 못한다. 뇌 연구는 왜 이렇게 어려운 걸까? 백세범 교수는 인공지능 연구가 자연지능을 이해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그가 연구를 통해 최근 밝혀낸 자연지능의 선천적 능력에 대해 공개한다.
✔ 프로그램명 : 취미는 과학 - 7화 자연지능, 왜 인공지능을 만드나?
✔ 방송 일자 : 2024.11.14
#골라듄다큐 #취미는과학 #뇌 #인공지능 #ai #뇌과학
- Category
- 다큐멘터리 - Documentary
- Tags
- EBS, EBS documentary, EBS 다큐멘터리
Sign in or sign up to post comments.
Be the first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