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사이버 댓글조사 TF, 4차 중간 조사 결과 발표…기무사 댓글 활동 관여 확인 (김지한)
강경일)
국군사이버사령부가 과거 정부정책에 비판적인 네티즌을 색출할 목적으로 블랙펜 분석팀을 운용했던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이혜인)
기무사령부도 2011년 청와대의 요청으로 정부에 비판적인 아이디 천여개를 수집해 청와대에 보고했던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김지한 기잡니다.
국군사이버사령부가 정부정책에 비판적인 소위 '악플러'를 색출하는
'블랙펜(Black Pen) 분석팀'을 과거에 운용했던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국방부 사이버 댓글사건조사 TF가 14일 발표한 4차 중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이버사령부는 2011년 초부터 2013년 10월까지 종북·반정부·반군 세력을
색출한다는 목적으로 이른바 블랙펜 분석팀을 운영했습니다.
당시 사이버사령부는 악플러를 지칭해 '블랙펜'과 '레드펜'이란
위장 용어를 함께 사용했으며 우익세력은 '블루펜'으로 불렀습니다.
국방부 TF는 블랙펜 분석팀이 포털 사이트에서 댓글을 검색한 후
북한 찬양지지, 대통령과 국가정책 비난, 군 비난 등
세 그룹으로 구분해 아이디를 분석했으며 그 분석 현황을 경찰청에 통보하고 기무부대에도 일부 공유했다는 정황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2012년엔 961개의 아이디를 식별한 후 공안기관에 통보했다는 내용이
사이버사의 2013년 업무추진계획 보고 문서에 담기기도 했습니다.
TF는 '블랙펜'과 관련해 추가 조사를 하는 한편
당시 내용을 통보받은 경찰청과 기무부대가 어떠한 조치를 했는지 등을
민간검찰과 공조해 확인할 계획입니다.
국방부 TF는 또 2011년 말 경 기무사령부가 청와대의 요청으로
민간 포털사이트와 트위터 등에서 정부정책을 비난하는 아이디,
일명 극렬 아이디 천여개를 수집해
그 현황을 청와대에 보고한 정황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TF는 "민간 극렬 아이디 대응 활동과 사이버사 활동 등과의
연계 가능성에 대해 면밀히 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한편 TF는 과거 국방부 조사본부에서 사이버사 댓글 의혹과 관련한
수사본부장을 맡았던 육군 김모 대령을 구속 기소했다고 밝혔습니다.
김 대령은 당시 수사본부장으로 근무하며
사이버사령부의 대선개입 의혹을 수사하던 헌병수사관을 질책하고
수사관들에게 허위 진술을 받아오도록 지시하는 등 직권을 남용하는 한편 2014년 8월 수사결과 보도자료에
“조직적 대선개입은 없었던 것으로 확인했다”는 허위 사실을 작성한 뒤
국방부 대변인실에 제출해 허위공문서를 작성한 혐읩니다. 국방뉴스 김지한입니다.
강경일)
국군사이버사령부가 과거 정부정책에 비판적인 네티즌을 색출할 목적으로 블랙펜 분석팀을 운용했던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이혜인)
기무사령부도 2011년 청와대의 요청으로 정부에 비판적인 아이디 천여개를 수집해 청와대에 보고했던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김지한 기잡니다.
국군사이버사령부가 정부정책에 비판적인 소위 '악플러'를 색출하는
'블랙펜(Black Pen) 분석팀'을 과거에 운용했던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국방부 사이버 댓글사건조사 TF가 14일 발표한 4차 중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이버사령부는 2011년 초부터 2013년 10월까지 종북·반정부·반군 세력을
색출한다는 목적으로 이른바 블랙펜 분석팀을 운영했습니다.
당시 사이버사령부는 악플러를 지칭해 '블랙펜'과 '레드펜'이란
위장 용어를 함께 사용했으며 우익세력은 '블루펜'으로 불렀습니다.
국방부 TF는 블랙펜 분석팀이 포털 사이트에서 댓글을 검색한 후
북한 찬양지지, 대통령과 국가정책 비난, 군 비난 등
세 그룹으로 구분해 아이디를 분석했으며 그 분석 현황을 경찰청에 통보하고 기무부대에도 일부 공유했다는 정황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2012년엔 961개의 아이디를 식별한 후 공안기관에 통보했다는 내용이
사이버사의 2013년 업무추진계획 보고 문서에 담기기도 했습니다.
TF는 '블랙펜'과 관련해 추가 조사를 하는 한편
당시 내용을 통보받은 경찰청과 기무부대가 어떠한 조치를 했는지 등을
민간검찰과 공조해 확인할 계획입니다.
국방부 TF는 또 2011년 말 경 기무사령부가 청와대의 요청으로
민간 포털사이트와 트위터 등에서 정부정책을 비난하는 아이디,
일명 극렬 아이디 천여개를 수집해
그 현황을 청와대에 보고한 정황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TF는 "민간 극렬 아이디 대응 활동과 사이버사 활동 등과의
연계 가능성에 대해 면밀히 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한편 TF는 과거 국방부 조사본부에서 사이버사 댓글 의혹과 관련한
수사본부장을 맡았던 육군 김모 대령을 구속 기소했다고 밝혔습니다.
김 대령은 당시 수사본부장으로 근무하며
사이버사령부의 대선개입 의혹을 수사하던 헌병수사관을 질책하고
수사관들에게 허위 진술을 받아오도록 지시하는 등 직권을 남용하는 한편 2014년 8월 수사결과 보도자료에
“조직적 대선개입은 없었던 것으로 확인했다”는 허위 사실을 작성한 뒤
국방부 대변인실에 제출해 허위공문서를 작성한 혐읩니다. 국방뉴스 김지한입니다.
- Category
- 다큐멘터리 - Documentary
Sign in or sign up to post comments.
Be the first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