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e For Us

[국방뉴스] 19.01.22 우리부대 명물: 육군탄약지원사령부 안재균 상병

E-Commerce Solutions SEO Solutions Marketing Solutions
152 Views
Published
정동미)
자신의 생각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표현할 줄 아는 것. 수월한 의사소통을 위한 필수적인 덕목입니다. 육군 탄약지원사령부에는 아이디어를 간결하게 표현한 영상으로 공모전 대상을 수상한 용사가 있다고 하는데요.
강경일)
그 주인공은 안재균 상병으로, 육군의 다양한 모습을 오직 ‘육군’, 이 단어 하나로 표현했는데요. 그의 이야기를 우리 부대 명물에서 들어봤습니다.

행정병으로 근무하고 있는 오늘의 주인공. 작년에 육군에서 주관한 ‘유스 액스 아미 (YOUTH X ARMY)’ 영상 공모전에 참가해 대상을 수상했다고 하는데요.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육군의 매력을 간결하게 담았다고 하는데, 실력이 어느 정도인지 한번 볼까요? 육군 탄약지원사령부 안재균 상병입니다.

육군이라는 두 글자. 반대로 휙 돌리니 공룡으로! 한 번 더 돌리니 용군, 용감한 군인으로! 이번에는 글자 순서를 바꾸니, 근육이라는 단어로 변신하는데요? 안 상병은 이 작품으로 대상을 수상했습니다.

INT) 안재균 상병 / 육군 탄약지원사령부
육군 장병 한 명 한 명이 모두 개성 있듯이, (‘육군’이라는) 단어 하나만으로도 많은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영상을 통해 전우들에게 육군이라는 자부심을 심어주고 싶었다고 하는데요.

INT) 안재균 상병 / 육군 탄약지원사령부
육군의 대표적인 모습이라면 자신감 넘치고 힘세고, 용감하고, (이런 모습을 떠올리는데) 다른 장병에게도 (이런 모습을) 상기시키고자 영상을 제작하게 됐습니다.

안 상병은 영상 제작 과정에서 아이디어를 짜는 게 가장 힘들었다고 합니다. 그는 ‘브레인스토밍’을 활용해 영상 줄거리를 구상했는데요. ‘육군’이라는 단어를 노트 중앙에 써놓고, 그와 관련해 떠오르는 단어들을 가지치기 식으로 펼쳐나갔습니다. 그러다 막힐 때는 한글의 특성을 활용하기도 했는데요.

INT) 안재균 상병 / 육군 탄약지원사령부
아무래도 한 단어로 제약을 두니까, 단어를 재조합하고, 분석하다보니 억지스러운 면이 있는 거 같았는데, 영상을 만들면서 두음법칙 같은 한글의 특성을 활용하니 나름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거 같습니다.

이런 노력 끝에 안 상병은 대상 수상이라는 영예를 안을 수 있었습니다. 부대 간부들은 그의 이런 노력이 다른 전우들에게 미치는 영향도 아주 크다고 입을 모읍니다.

INT) 김승덕 원사 / 육군 탄약지원사령부
(안 상병이 대상을 수상해서) 제가 상 받은 것 보다 조금 더 기뻤고, 다른 부대원들에게도 미친 그 파급효과가 컸습니다. 좀 더 밝고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모습을 (용사들에게서) 더 볼 수 있게 됐고, 이런 면에서 다른 용사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 거 같습니다.

INT) 박규환 대위 / 육군 탄약지원사령부
이번에 안재균 상병이 대상을 수상하면서, 용사들이 내 생활관 동기가, 내 부대원이, 내 옆에 있는 전우가 대상을 수상하는 모습을 보면서, ‘아, 나도 조금만 더 노력하면 할 수 있겠구나’ 이런 도전정신을 많이 갖게 됐습니다.

이번 도전을 통해 큰 성취감을 맛 본 안 상병의 꿈은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영상 콘텐츠 제작가가 되는 것입니다. 요즘 꿈을 위한 공부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INT) 안재균 상병 / 육군 탄약지원사령부
대상을 받을 줄은 꿈도 못 꿨는데, 공모전에서 수상하고 나니까 ‘아, 나도 할 수 있구나’ (이런)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영상과 관련된 직업을 갖고, 꿈을 이루고 싶은데 이번 일을 계기로 그 꿈에 한 발짝 더 다가가는 거 같아서 기분이 많이 좋습니다.

오직 ‘육군’이라는 단어 하나로 여러 메시지를 표현했던 안재균 상병. 공모전을 통해 얻은 자신감을 바탕으로 사회에서도 꿈을 향한 도전을 계속 이어가길 바랍니다.

우리 부대 명물 김호영입니다.
Category
다큐멘터리 - Documentary
Sign in or sign up to post comments.
Be the first to comment